2022개정교육과정 2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기별특징교수요목기● 가르칠 주제를 열거한 교수 요목의 형태● 행방 전의 교육 내용의 답습● 내용이 어렵고 과다제1차● 경험 중심 교육과정● 생활 단원 학습● 수학 용어의 한글화제2차● 교과 중심 교육과정● 수학의 계통성 중시● 기초 학력 배양제3차●학문 중심 교육과정●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의 정신 반영● 수학내용의 조기 도입● 수학적 구조와 엄밀성 강조제4차●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의 반성● '기본으로 돌아가기'정신이 반영● 학습 부담 경감을 위한 학습 내용 축소제5차● 문제 해결력의 강조● 기초 학력 배양● 학습 부담 경감을 위한 학습 내용 축소제6차● 문제 해결력의 강조● 다양한 교수 학습 및 평가 방법 권창● 계산기와 컴퓨터 활용 권장● 학습 부담 경감을 위한 학습 내용..

2022 개정 교육과정 _ 수학과 _ 성취기준 해설,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_ 중학교

1. 수와 연산 ( 소인수분해, 정수와 유리수, 유리수와 순환소수, 제곱근과 실수)  (1) 성취기준 해설  [9수01-02] 초등학교에서 학습한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의 개념을 바탕으로 소인수분해를 이용하여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게 한다.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는 자연수의 소인수분해를 이용하는 범위에서 다루고,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의 활용 문제는 다루지 않는다.  [9수01-05] 정수의 사칙계산의 원리는 여러 가지 모델을 활용하여 직관적으로 이해하게 하고, 실생활에서 사칙계산의 유용성을 인식하게 한다.  [9수01-06] 순환소수를 유리수로 고치는 것은 순환소수가 유리수임을 이해할 수 있는 정도로 다룬다. 유한소수를 순환소수로 나타내는 것은 다루지 않는다.  [9수01-08] 실생활에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