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교육심리

도덕성 발달이론 _ 피아제, 콜버그, 길리건, 레스트, 반두라

수핫🔥 2024. 6. 6. 08:43
반응형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이론

 

1. 개관

 (1) 도덕성 발달은 인지발달에 병행하며 단계별로 발달한다.

 (2) 도덕성은 옳고 그름에 대한 도덕적 판단능력이다.

 

 

2. 도덕성 발달단계

 (1) 타율적 도덕성 (4~8세)

  ① 도덕은 고정적이고 불변하며 권위있는 타인에 의해 부과되는 것이다.

  ② 행위자의 의도나 동기를 고려하지 못하고 결과만 놓고 판단한다.

 

 (2) 자율적 도덕성 (8~12세)

  ① 결과에 의한 판단이 아닌 옳고 그름을 스스로 판단한다.

  ② 행위자의 의도나 동기, 상황을 고려하여 판단한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1. 개관

 (1) 기본입장

  ① 인지구조의 발달에 따라 도덕성이 발달한다.

  ② 도덕성은 옳고 그름에 대한 도덕적 판단능력이다.

  ③ 도덕발달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모든 사람은 동일한 순서로 도덕발달단계를 통과한다.

 

 (2) 특징

  ① 인지발달은 도덕발달의 선행조건이다.

  ② 도덕발달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하위 단계를 거쳐야 상위단계로 갈 수 있다.

  ③ 모든 사람은 동일한 순서로 도덕발달단계를 통과한다.

 

 

 

2. 도덕성 발달단계

 (1) 전인습 수준 : 내적 판단 기준 결여되어있고 도덕적 결과에 초점맞춘다.

  ① 처벌 - 복종 단계 

    ㉮ 개념 : 처벌을 받는냐 받지 않느냐가 도덕적 판단의 기준이된다.

    ㉯ 특징

      ⓐ 행위자의 의도는 고려하지 않고 행위의 결과에 따라 도덕적 판단을 한다.

      ⓑ 타인의 입장이나 감정을 고려하지 못하며, 그래서 자신과 타인의 관점을 관련시키지 못한다.

      

  ② 시장교환 단계

    ㉮ 개념 :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가가 도덕적 판단의 기준이 된다.

    ㉯ 특징

      ⓐ 자신의 이익과 욕구를 우선시한다.

      ⓑ 타인과 상호 이익을 주고받는 교환관계를 형성한다.

      

 (2) 인습 수준 : 결과에 초점맞추지 않고 사회적 관습에 초점맞춘다.

  ① 타인과의 조화단계 

    ㉮ 개념 : 다른 사람의 기대, 사회적 인습이 도덕적 판단의 기준이 된다.

    ㉯ 특징

      ⓐ 자기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감정이입을 할 수 있는 능력과 다른 사람을 배려하려는 의식이 강하게 나타난다.

      ⓑ 도덕적 사고가 사회의 고정된 인습에 엄격하게 따르기 때문에 융통성이 없고, 독립적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자율성이 없다.

      

  ② 법과 질서단계 

    ㉮ 개념 : 법 · 질서를 그대로 따라야 한다고 믿는다.

    ㉯ 특징

      ⓐ 법과 질서 유지가 절대적이다.

    

 (3) 후인습 수준 : 개인의 내재적 원리로 도덕적 판단을 하고 사회 규칙을 따르지만 때론 수정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① 사회적 계약 단계

    ㉮ 개념 : 법은 사회적 계약이므로 사회적 유용성에 대한 고려를 통해 이롭지 않다면 법과 질서를 바꿀 수 있다고 이해하는 단계

    ㉯ 특징

      ⓐ 법과 규칙은 개인의 자유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극대화하기 위해 공동체가 합의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 사회 전체의 합의를 중시한다.

      

  ② 보편적 원리 단계

    ㉮ 개념 : 개인의 내면화된 보편적 원리를 기준으로 도덕적 판단을 내린다.

    ㉯ 특징

      ⓐ 보편적 도덕원리를 중한다.

      ⓑ 사회 규칙을 초월한 보편적 도덕원리를 중시한다.

      

 

 

3. 교육적 시사점

 (1) 학교 교육은 단순히 구체적 행동만 나열하는 것이 아닌 왜 그렇게 해야 하는지를 생각해보게 함으로써 학생의 도덕적 판단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2) 학생의 도덕성 발달수준을 이해하고 그에 따라 대응해야 한다.

 (3) 현재의 도덕적 추론 수준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도덕적 딜레마 상황을 제시해 이에 관해 토론하여 자신과 타인의 도덕적 사고를 비교하고 자신보다 상위수준의 도덕적 사고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도덕발달을 증진하게 한다.

 

 

4. 한계

 (1) 도덕적 판단 수준이 높다고 해서 도덕적으로 행동하는 것은 아니다.

 (2) 문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차이를 고려하지 못한다.

 (3) 도덕발달단계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4) 실제로 발생하는 도덕발달의 퇴행을 설명하지 못한다.

 (5) 남성중심적 도덕관이다.

 

 

 

반응형

길리건의 배려의 윤리

 

1. 개관

 (1) 개념

  ① 배려의 윤리 : 인간관계 속에서 배려와 책임을 중심으로 도덕적 판단을 강조하는 윤리

  ② 여성의 도덕성 발달단계를 3가지 수준의 단계와 각 단계 사이의 2개의 전환기로 설명한다. 각 단계는 자신과 타인 간의 관계를 더 정교하게 설명하고 각 전환기는 이기심과 책임감 간의 이해를 보여준다.

  

2. 여성의 도덕성 발달단계

1단계  자기 이익 지향 생존을 위해 자신만을 보살피는 이기적 단계
어느 쪽이 자신에게 중요한가가 판단의 준거가 된다.
전환기1   이기심에서 책임감으로 타인과의 애착과 관계 형성이 중요해지면서 도덕적 판단기준이 이기적인 것에서 배려와 책임감으로 옮겨가기 시작한다.
2단계 자기 희생으로서의 선 사회적 조망이 발달하면서 자신의 욕구를 억제하고 타인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지향하며 자기희생을 선으로 간주하는 단계.
전환기2  선에서 진실로 왜 다른 사람을 위해서 자신의 희생은 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을 가진다.
자아개념과 관련된다.
3단계 비폭력 도덕성 개인의 권리와 타인에 대한 책임이 조화를 이루는 단계
타인과 함께 자기 자신도 보살핌의 대상이 되어야함을 자각하고 자기와 타인을 평등하게 다루는 단계

 

 

 


레스트의 도덕성 이론

 

1. 특징

 (1) 도덕성 : 사람들이 함께 모여 살 때 서로의 복지를 위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를 알려주는 원리이자 안내.

 (2) 도덕적 행동의 표출에 주목한다.

 (3) 도덕성을 인지적 측면과 행동적 측면을 종합하여 파악하고자함

 (4) 도덕적 행동이 표출되기 위해서는 '도덕 감수성', '도덕 판단력', '도덕 동기화', '도덕적 품성'의 네 가지 심리요소가 필요하고 이 중 하나라도 결여된다면 도덕적 행동은 실패한다.

 

2. 도덕적 행동의 요소

 (1) 도덕 감수성 : 상황 속에 내재된 도덕적 이슈를 인지하고 상황을 해석하며, 자신의 행동이 타인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이나 결과에 대해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능력

 

 (2) 도덕 판단력 : 도덕 감수성을 통해 자신의 행동이 타인에게 미칠 영향을 지각한 후, 그 행동이 도덕적으로 옳고 정의로운지 판단하는 능력

 

 (3) 도덕 동기화 : 도덕적 가치를 다른 가치들보다 우위에 두고자 하는 동기부여

 

 (4) 도덕적 품성 : 도덕적 행동을 실천하려는 의지, 자아 강도

 

 

 


반두라의 도덕성 발달 이론

 

1. 사회학습 이론에서의 도덕적 행동학습

  : 도덕적 행동이 다른 사회적 행동과 마찬가지로 강화, 처벌, 모델링을 통해 학습된다.

 

2. 강화

(1) 학생이 도덕적 행동을 할 때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행위의 빈도를 높일 수 있다. 

 (2) 도덕적으로 옳지 않은 행동과 반대되는 대안적 행동을 정리함으로써 아동의 통제력을 높일 수 있다.

 

3. 처벌

 (1) 벌의 제공에 찬성하는 입장 : 과도한 벌이 아닌 적당한 벌을 학생의 비도덕적인 행동과 결합한다면 학생의 도덕성 발달에 유익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① 벌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나쁜 행동이 일어나는 즉시 벌을 주어야 한다.

  ② 도덕성 학습을 위한 벌은 규칙적인 토대 위에서 사용되어야 한다.

  ③ 인지적 설명이 적절히 제공된다면 벌이 더욱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 인지적 설명 : 아동에게 처벌받는 행동이 왜 나쁘고 그것을 반복하면 죄책감이나 부끄러움을 느끼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

 

 (2) 벌의 제공에 반대하는 입장 : 과도한 벌은 적개심과 반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다.

  ① 도덕성이나 자기 통제감은 처벌에 대한 두려움에 기초해서는 안된다.

 

 

4. 모델링

 (1) 학습은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출발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