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성
: 교사의 발전은 학생의 교육적 성장에 영향을 주고 교육의 성패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다.
방법
1. 교원 연수
2. 장학 - 장학 (tistory.com)
장학
장학의 개관 1. 개념 : 교사와 학생의 성장 발달에 관한 제 조건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도 · 조언하는 전문적 · 기술적 봉사활동 장학의 유형 _ 조직 수준 기준 1. 교육장학 : 교육부 내에서 이루어
boil-able.tistory.com
3. 전문적 학습공동체 ( 대안적 접근)
학교 조직의 특성
조직의 형태 1. 공식적 조직 비공식적 조직 ● 인위적으로 형성된 제도적 조직 ● 문서화된 조직 ● 능률의 원리 적용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형성된 자연 발생적 조직 ● 비문서화된 조직 ● 감
boil-able.tistory.com
4. 교원능력개발평가
(1) 목적
① 교원의 교육활동에 대한 전문성을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른 보상을 차등으로 제공하고 능력개발을 지원하여 학교 교육의 질 향상을 도모
② 교원과 학생 · 학부모의 의사소통 증진으로 구성원의 만족도 향상을 통한 공교육의 신뢰 제고
(2) 평가종류
① 동료교원 평가 : 교장 · 교감 중 1인 + 수석교사 또는 부장교사 1인 포함 3인 이상
② 학생 만족도조사 : 지도를 받는 학생이 개별교원을 대상으로 하는 평가
③ 학부모 만족도조사 : 지도를 받는 학생의 학부모가 개별교원을 대상으로 하는 평가로 교장 · 교감 · 담임교사의 만족도 조사는 반드시 참여해야하나 그 외에는 선택적 참여가 가능하다.
(3) 평가 시기 : 매년 1회 당해연도 3~11월 중 실시
(4) 평가 시행 주체 : 단위학교장이 실시
(5) 평가영역
① 교사
㉮ 학습지도 : 수업준비, 수업실행, 평가 및 활용
㉯ 생활지도 : 개인생활지도, 사회생활지도
② 교장 · 교감
㉮ 학교경영 : 학교교육계획, 교내장학, 교원인사, 시설 관리 및 예산운용
(6) 결과 활용
① 우수 교원 대상 학습연구년제 실시
② 일반교원에 대한 자율연수 실시
③ 지원 필요 교원에 대한 능력향상연수 실시
(7) 평가관리 기구 : 시 · 도 교육청 및 학교에 교원능력개발평가관리위원회 설치 ( 교원, 학부모, 외부전문가 등 5인 ~ 11인으로 구성하고 학교에 설치시에는 학부모 포함 외부위원을 50% 이상 포함한다.)
(8) 특징
① 종합적 평가를 통해 교사의 업무 질 평가와 평가 결과를 통한 보상의 차등제공을 하는 제도로 외재적 보상물을 통한 동기화를 추구한다. - 과학적 관리론과 관련
'교육학 > 교육행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문화론 - 맥그리거, 오우치, 아지리스, 세시아와 글리노우, 스타인호프와 오웬스 (18) | 2024.08.26 |
---|---|
교육조직 관리기법 (0) | 2024.04.01 |
학교·학급 경영 (0) | 2024.03.29 |
장학 (0) | 2024.03.28 |
학교 조직 풍토론 - 핼핀과 그로프트, 호이와 미스켈, 리커트 (0) | 2024.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