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파법 개념
: 학생들에게 질문을 던져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도록 한 다음 그것을 논박하여 무지와 곤혹감을 야기시켜 알고자 하는 마음을 유발하여 대화를 통해 원리를 발견하도록 지도하는 것. 따라서 산파법에 따르는 수학 학습 -지도 방법은 대화법이어야 한다.
2. 산파법의 특징
(1) 지식교육이란 학생이 모르는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대화를 통해 학습자가 소유한 부정확한 의견을 논박하여 무지를 자각시킨 다음 망각된 지식을 상기해 내도록 도와주는 조산과정이다.
(2) 교사가 지도에 앞서 상상 속에서 강의하고 학생과 대화하고 토론을 하며 수업을 진행시키는 사고실험을 통해 수업과 관련된 모든 사고를 미리 거치는 매우 세련된 학습 -지도 방법이다.
(3) 아동의 사고 활동을 무엇보다 중요시하지만 수업의 주도권은 교사에게 있다.
3. 소크라테스 산파법에 대한 비판
(1) 교사와 대화하는 가운데 학생은 질문하지 않는다 → 교사의 '지적인 권위'는 엄존하며 수업의 주도권이 교사에게 있다.
(2) 무지를 자각하여 알고자 하는 마음이 생겼다고 하더라도 학생 자신이 능동적으로 진리탐구에 참여하고 있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3) 교사가 문제의 답을 직접 제시하지는 않는 듯 하지만 학생이 발견해야 할 핵심적인 내용을 거의 제시하면서 확인만 시키고 있는 것은, 학생 스스로 탐구하여 발견해 내고 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4. 구성주의와의 차이
: 구성주의에서는 학생이 직접 반박하지만 산파법에서는 교사가 반박한다.
'수교론 > 수학교육학신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 문제해결 교육론 - 폴리아 (2) / 문제제기, 귀납 유추, 문제해결 전략 (0) | 2024.05.10 |
---|---|
수학 문제해결 교육론 - 폴리아 (1) (1) | 2024.05.08 |
준경험주의 - 라카토스 (0) | 2024.04.27 |
구성주의 _ 조작적 구성주의, 급진적 구성주의, 사회적 구성주의 (0) | 2024.04.26 |
교수학적 변환 _ 쉐발라드 (0) | 2024.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