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교육방법 및 공학

지속가능발전교육

수핫🔥 2024. 10. 4. 09:09
반응형

개념

1. 모든 연령대의 학습자들이 기후 변화와 환경문제, 생태다양성의 손실, 빈곤, 불평등과 같이 상호연결되어있는 글로벌한 과제를 풀어가는 지식과 기술, 가치, 태도를 갖추도록 돕는 교육

 

2. 지속가능성과 형평성, 즉 세대 간, 세대 내, 생물 종 간 형평성에 대한 강조가 핵심적이며, 경제 발전과 성장만을 추구하기보다는 환경과 생태의 건강과 정치적 민주주의와 사회적 평화와 문화적 다양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 YouTube

 

관련 역량

1. 시스템 사고 역량(systems thinking competency): 관계를 인지하고 이해하는 능력, 복잡한 시스템을 분석하는 능력, 시스템들이 어떻게 다양한 영역 및 척도 안에 내재되어 있는지 생각하는 능력, 불확실성에 대처하는 능력.

 

2. 예측 역량(anticipatory competency): 가능한 미래, 개연성이 있는 미래, 바람직한 미래 등 다양한 미래를 이해하고 평가하는 능력, 미래에 대한 자신의 비전을 창조하는 능력, 예방 원칙을 적용하는 능력, 행동의 결과를 평가하는 능력, 위험과 변화에 대처하는 능력.사회

 

3. 규범적 역량(normative competency): 자신의 행동에 기조가 되는 규범과 가치를 이해하고 성찰하는 능력, 불확실한 지식 및 모순의 맥락에서 지속가능성의 가치, 원칙, 목표 및 세부목표를 조율하는 능력.

 

4. 전략적 역량(strategic competency): 지역 수준 및 더 넓은 수준에서 지속가능성을 증진시키는 혁신적인 행동을 집단적 으로 개발하고 이행하는 능력.

 

5. 협력 역량 (collaboration competency): 타인으로부터 배우는 능력, 타인의 필요, 관점 및 행동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능력(공감), 타인을 이해하고 관계를 맺으며 민감하게 반응 하는 능력(공감적 리더십), 집단 내 갈등에 대저하는 능력, 협력적이고 참여적인 문제 해결을 용이하게 하는 능력.

 

6. 비판적 사고 역량(critical thinking competency): 규범, 관행 및 의견에 의문을 제기하는 능력, 자기 자신의 가치, 인식 및 행동을 성찰하는 능력, 지속가능성 담론에서 자신의 입장을 취하는 능력.

 

7. 자아 인식 역량(self-awareness competency): 지역사회 및 (글로벌)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을 성찰하는 능력, 자신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동기 부여를 하는 능력, 자신의 감정과욕구에 대처하는능력.

 

8. 통합적 문제 해결 역량(integrated problem-solving competency): 복잡한 지속가능성 문제에 다양한 문제 해결의 틀을 적용하고, 위에서 언급한 역량들을 통합해 지속가능발전을 촉진하는 실행 가능하고, 포용적이며, 공평한 해결책을 개발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능력.

 

 

사회적 학습 목표

1. 지속가능발전교육에서는 인지적 학습목표, 행동적 학습목표뿐만 아니라 사회적 학습목표를 고려해야한다.

2. 사회적 학습은 각기 다른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개인이 모인 가운데 저마다 각기 다른 관점을 드러내고 통합하는 과정속에서 일어난다.

 

 

학교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방안

1. 교육과정 및 교육내용

 (1) 기후변화, 환경문제, 불평등 문제 등 지속가능 발전교육 관련 내용을 교육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한다.

 

2. 학교운영 및 의사결정

 (1) 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이외에 교내 구성원들이 학교운영 및 의사결정의 과정에서 민주적으로 참여하게 한다.

 (2) 특정 쟁점이나 문제와 관련된 현상을 분석해보고 검토해서 지속가능한 사회에 대해 생각해보고 이를 소통하고 공유하며, 실행해보는 경험을 하게 한다.

 

3. 학교시설관리

 (1) 그린스마트미래학교의 사례를 통해 물 사용과 에너지 사용, 건축과 단열재, 기후변화 등이 학습과 연계되고, 이를 조성하거나 운영하는 과정에서 학교 구성원들이 참여해보게 한다.

 

4.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

 (1)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지역의 학습 기회를 확인하고 협력적 관계를 구축한다.

 

 

반응형